<p></p><br /><br />오늘의 왜, 정치부 손영일 차장입니다. <br><br>Q1. 대통령 집무실 이전 예비비에 신중함을 강조해왔던 청와대가 해주기로 한 모양인데요. 오늘도 국무회의가 있었거든요. 왜 오늘은 안 한 겁니까?<br> <br>오늘 국무회의 전까지 실무차원의 검토가 덜 끝나 대통령에게 예비비 내용이 보고가 되지 않았다,<br> <br>이게 청와대의 공식 설명입니다. <br> <br>막판까지 쟁점이 된건 위기관리시스템 이전 비용 50억 원이었습니다. <br><br>청와대 국가위기관리센터 상황실은 국방부나 합참 상황실보다 규모가 훨씬 크고, 군사전술지휘 시스템뿐 아니라 경찰과 소방, 재난재해 안전망까지 연계돼 있거든요.<br> <br>안보상 이유로 위기관리센터 이전에 우려가 나오자 최종 결론을 내지 못했고, 결국 오늘 국무회의 안건으로 올라오지 못했다는 겁니다. <br><br>Q2. 내일은 처리한다면서요? 그럼 그 위기관리시스템 50억 원을 해줄지 결정이 났나요? <br><br>네, 최종적으로는 내일 처리할 1차 예비비 360억 원 안에 포함시키는 걸로 확정됐습니다. <br> <br>청와대와 인수위가 한발씩 물러나면서 접점을 찾았는데요. <br> <br>위기관리시스템 이전 비용을 내일 예비비 처리 금액에 포함시키되, 실제 이전은 한미연합훈련이 끝나는 28일 이후에 하기로 한겁니다. <br> <br>마찬가지로 국방부·합참 이사비용 역시 같은 방식으로 처리하기로 합의했는데요. <br><br>청와대 관계자는 "한미연합훈련 등 안보에 지장이 없게 하면서, 이사비용은 인수위가 원하는 대로 한번에 다 포함시켰다"고 설명했습니다.<br><br>Q3. 보면 청와대 태도가 애매해보이긴 해요. 협조를 하는 건지 안 하는 건지요. 대통령 속마음은 뭔가요?<br> <br>제가 대통령의 속마음까지 정확히 알 수는 없죠, <br> <br>다만 정치권 일각에서는 문 대통령이 안보 공백을 이유로 예비비 처리에 제동을 걸었던 만큼, 근본적인 변화가 없는 상황에서 직접 처리해 주는 모양새가 부담스러웠을 것이란 해석도 나옵니다. <br> <br>내일 예비비 처리를 위한 임시국무회의는 김부겸 국무총리가 주재할 예정인데요. <br> <br>청와대는 중요 정책 결정에 있어 개인적 감정이 작용할 수는 없다며 이런 해석에는 선을 그었습니다. <br><br>Q4. 예비비 통과되면 이전이 될 거고, 그럼 자연스레 청와대 개방이 이슈가 될텐데요. 오늘 청와대가 북악산 개방을 발표한 것도 이런 것도 좀 의식한 건 아닌가요?<br> <br>청와대는 예비비 처리와 북악산 완전 개방은 전혀 별개의 사안이라고 설명합니다. <br> <br>하지만 자세히 뜯어보면 두 사안 사이에는 묘한 공통점이 있습니다. <br><br>예비비는 대통령 집무실 이전과 청와대 개방이라는 윤석열 당선인의 대선공약과 관련된 거잖아요. <br> <br>북악산 전면 개방은 문 대통령의 대선 후보시절 '열린 청와대' 공약 중 하나입니다.<br> <br>청와대를 국민에게 돌려주겠다는 약속을 두고 신구권력이 경쟁을 벌이는 것 아니냐, 이런 관측이 나오는 이유입니다. <br><br>네, 지금까지 정치부 손영일 차장이었습니다.